UNIV
2022-06-01 05:17
생활과건강 - 11강. 우울증의 이해와 관리
1. 우울증의 이해
- 전반적인 정신기능이 저하된 상태
- DSM-5의 우울장애 (depressive disorders)에 해당
- 주요 우울장애
- 지속성 우울장애
-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
- 월경전불쾌감장애
- 지속성 우울장애
-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
- 만성적으로 고도의 지속적인 과민성
- 아동이나 청소년에게 흔히 발생
- 월결전 불쾌감장애
- 반복적으로 월경주기 전에 시작 & 월경 시작 or 직후에 사라짐
- 현저한 고통, 심각한 일상생활 기능 저해
- 우울증의 특징적 양상
- 울병 (melancholia)
- 갱년기 우울증 (involutional depression)
- 산후우울
- 산후우울증
- 계절성 우울증
- 연령에 따른 우울증의 특징적 양상
- 아동 및 청소년
- 중년
- 노인
2. 우울증의 원인
- 정신사회적 요인
- 상시에 대한 애도과정이 지연 또는 왜곡
- 대상의 상실 경험
- 분노나 공격성이 자기 자신에게 향함으로써 발생
- 학습된 무기력
- 우울증이 발생하기 쉬운 성격유형
- 상실로 인한 스트레스
- 여성의 역할변화로 인한 역할 갈등
- 우울증의 평생 유병률: 여성 > 남성 (약 2~3배 높음)
- 생물학적 요인
- 유전적 영향
- 신경해부학적 이상
- 생화학적 영향
- 약물 및 신체질환
3. 우울증의 관리
- 급성기, 지속기, 유지기의 각 치료단계에 따른 목표
- 급성치료 단계
- 약 6-12 주
- 지속치료 단계
- 증상 완화 후 처음 4-6개월 간은 재발 위험성이 높아 증상 재발 예방 및 회복촉진이 치료 목표
- 유지치료 단계
- 재발 및 새로운 에피소드로 인한 질병의 순환 예방이 치료 목표
- 약 1-5년 지속적인 약물 치료 필요
- 약물치료
- 급성 증상 완화 제거
- 충분한 용량을 충분한 기간 동안 사용
- 심리, 사회, 신체적 치료
- 우울증 환자의 억압된 분노 표현
- 무의식을 이해
- 자아를 지지
- 왜곡된 인지나 대인관계 등 교정
- 심리적 정서적 지지
- 신체적 건강과 안전
- 영양, 위생, 수면, 안전
- 자존감 강화
- 감정 표현하기
- 환경적 관리
- 안녕감 회복 및 증진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