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V

2022-06-01 06:06

생활과건강 - 12강. 응급처치(1)

1. 응급의료 체계의 이해

  • 응급의료 체계
    • 신속한 응급 처치 및 병원 진료
    • 인력 장비 자원 등 모든 요소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체계
    • 현장에서 적절한 처치
  • 병원 전 단계
    • 환자 발생의 신고와 구급차 출동
      • 처음 발견한 일반인과 신고 접수자
      • 최초로 응급처리 수행하는 사람의 역할이 매우 중요
    • 응급 상황이 발생한 위치, 사고의 종류, 환자의 수, 상태, 처치 내용 등을 알림
    • 구급대에 의한 현장 응급 처치
      • 제세동
      • 전문심장소생술
  • 병원 단계
    • 현장 처치의 검토 및 연속적인 응급 처치
    • 진단을 위한 적절한 검사
    • 입원치료 혹은 응급수술 결정
  • 응급 의료 관련 법규
    • 응급 의료에 관한 국민의 권리와 의무
    • 국가 지방자치 단체의 책임
    • 응급의료 제공자의 책임과 권리
    • 응급의료 체계의 확립
    • 응급진료체계 정비
    • 응급구조사의 법제화

2. 기도폐쇄

  • 기도가 부분 혹은 전체적으로 폐쇄되는 것
  • 기도
    • 공기가 인후두부, 기관, 기관지 등의 통로를 거쳐 폐에 도달하는 통로
  • 혀가 뒤로 말려들어가 숨을 쉬는 길인 기도와 목안을 막기 때문
  • 원인
    • 성인: 주로 음식물에 의해 발생
    • 어린아이: 땅콩, 장난감, 동전 등이 기도로 넘어가 기도를 막을 수 있음
    • 외상이나 사고를 당한 경우 입안이 손상되어 치아나 출혈등에 의해 기도가 막히기도 함
    • 의식이 없는 환자는 혀가 뒤로 말려 들어가는 경우가 있음
  • 증상
    • 호흡과 맥박이 빨라짐
    • 호흡보조근을 사용하므로 매우 힘들어 보임
    • 의식 수준의 변화
    • 피부색이 창백하거나 검푸른 빛으로 변함
  • 처치
    • 기도의 일부분이 막히는 경우
    • 완전히 막히는 경우
    • 의식이 없는 환자는 심폐소생술을 시행
    • 힘있게 기침을 해서 이물을 뱉어 내도록 유도
    • 하임리히법
      • 복부 밀쳐 올리기

3. 심폐소생술

  • 심정지
    • 심장 기능이 멈춘 상태
    • 심장박동이 없다
  • 기본 소생술
    • 1차 소생술
  • 전문 소생술
    • 2차 소생술
    • 심정지의 신속한 인지
    • 응급의료체계의 활성화
    • 신속한 심폐소생술
  • 심폐소생술의 필요성
    • 환자의 뇌손상을 최소화하는 것
    • 심정지 발생 후 4~5분 경과하기 전에 소생술을 실시해야 함
  • 생존사슬 (chain of survival)
    • 심정지의 예방과 조기 발견
    • 신속한 신고
    • 신속한 심폐소생술
    • 신속한 제세동
    • 효과적 전문 소생술과 심정지 후 치료
  • 심페소생술의 절차와 방법
    • 자동심장충격기 -> 심폐소생술 시작
    • 기본소생술 가이드라인 기준에 근거한 기본소생술 순서
    • 환자의 반응 확인
    • 119 신고
    • 호흡 확인
    • 가슴 압박
    • 가슴압박소생술 (CPR)
    • 인공호흡
      • 기도 유지-열기
        • 머리 기울임-턱 들어올리기 방법
      • 입-입 인공호흡
        • 코를 막은 다음
    • 자동심장충격기 (AED)
  • 선의의 응급의료에 대한 면책 (선한 사마리아인 조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