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V
2022-04-14 02:16
생활과건강 - 5강. 신체건강 문제와 관리(4)
내분비계
- 호르몬을 직접 혈액내로 분비하는 조직
- 내분비선
- 호르몬
내분비계 건강문제
1. 당뇨병
- 가장 흔한 내분비계 질환
- 인슐린 결핌에 의해 혈당을 상승시키고 지방 및 단백질 대사에 이상을 동반하는 당질 대사장애
- 인슐린 부족 -> 혈중 포도당 농도 상승 -> 신장에서 포당 재흡수 하지 못함
- 판정 기준
- 혈당 검사
- 표준 포도당 부하 검사
- 당화혈색소
- 유형과 원인
- 제 1형 당뇨
- 전체 당뇨 황자의 10%이내를 차지
- 30세 이전에 발병하는 특징 (소아당뇨)
-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발생함
- 제 2형 당뇨
- 다른 질환에 의해 2차적으로 당뇨병이 생기는 경우
- 인슐린 저항성 때문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것)
- 기타 임신 당뇨병 등
- 제 1형 당뇨
- 증상
- 다음, 다뇨, 다식
- 전신 피로감, 종기, 상처치유장애, 피부건조, 시력장애, 식곤증, 체중감소, 손발 감각변화 등
- 합병증
- 급성
- 저혈당
- 인슐린이나 먹는 당뇨약을 쓰는 사람이 너무 많이 약을 쓰는 경우
- 소량의 식사, 무리한운동
- 당뇨병성 혼수
-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세포는 연료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체내에 축적되어 있는 지방 분해
- 그 과정에서 케톤체가 생성되면서 당뇨성 케톤산증을 초래하기도 함
- 감염
- 저혈당
- 만성
- 대혈관 합병증
- 심장과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의 경화로 인해 협심증, 심근경색증, 뇌졸중이 나타나고 고혈압도 초래됨
- 당뇨병성 망막증
- 카메라의 필름에 해당하는 눈의 망막이 손상되어 심한 경우 눈이 멀게 됨
- 당뇨병성 신증
- 당뇨병성 신경병증
- 발의 괴저
- 대혈관 합병증
- 급성
- 예방
- 유산소운동, 복부비만 관리, 가족려 확인
2. 비만
- 원인
- 유전적 요인
- 환경적 요인
- 심리적 요인
- 유형
- 지방세포 증식형
- 소아비만
- 지방세포 비대형
- 성인기 이에 비만하게 된 것
- 지방세포 증식형
- 비만도 판정
- 체중-신장수
- 체질량 지수 (BMI)
3. 근 골격계 건강 문제
- 근골격계
- 뼈, 근육, 연골, 인대, 관절
- 골격근
- 뼈와 연결된 근육
- 골다공증
- 골 소실이 골 형성보다 증가하여 골량이 전체적으로 감소, 뼈에 구멍이 생기고 쉽게 골절을 일으키는 질환
- 원인
- 퇴행성 골소실
- 여성의 경우 폐경이 되면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의 감소로 골소실 속도가 급격히 빨라짐
- 증상
- 골절이 발생할 때까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음
- 키의 감소
- 척추의 국소적 압통
- 복부돌출 등
- 예방
- 체내에 최대 골량을 증가
- 골소실 시작 지연
- 고칼슘 음식을 충분히 섭취
- 치료
- 약물 투여 및 칼슘의 섭취 증가
- 칼시토닌
- 알란드로네이트
- 퇴행성 관절염
- 관절을 보호하고있는 연골이 서서히 손상되거나, 퇴행성 변화로 관절 주위의 뼈와 인대가 손상되어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 염증성 관절 질환 중 가장 많이 발생
- 원인
- 일차성 관절염
- 이차성 관절염
- 통풍
- 관절염의 일종으로 바람만 스쳐도 아플정도로 통증이 심한 질환
- 남자가 여자보다 약 20배 정도 발병률이 높음
- 단백질인 퓨린의 신진대사 장애 -> 요상이 과잉공급
- 배설장애 -> 혈중 요산농도가 높아짐
- 약물로써는 콜키신을 투여
- 식이요법: 퓨린이 적은 음식 섭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