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V
2022-04-24 07:32
생활과건강 - 6강. 신체건강 문제와 관리(5)
비뇨기계 해부 생리
- 신장
- 후복벽의 복막 뒤에 좌우 1개씩 위치, 강낭콩 모양과 유사한 기관
- 신장의 기능 단위
- 네프론, 한쪽 신장에는 100만 ~ 125만개의 네프론이 있음
- 신장의 기능
- 이온농도 조절
- 독성물질을 체외로 배출
- 적혈구 생성 관여(조혈기능)
- 여러 호르몬 대사에 관여
- 요관, 방광 및 요도
- 요관: 신장에서 생성된 소변은 요관을 통해 방광으로 운반
- 방광
- 주머니 모양의 근육으로 된 기관, 소변을 저장했다가 주기적으로 체외로 배출시키는 역할
- 성인의 경우 방광에 소변이 250 ~ 450 cc 가 찼을때 느낌
- 요도
- 수의적으로 외괄약근을 이완시키면 배뇨가 이루어짐
- 요로 결석
-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 요로에 결석이 생겨서 배뇨장애 초래
- 격심한 통증이 발생하거나 요로 감염, 신부전 등이 나타나는 질환
- 원인
- 수분섭취 감소: 요석결정이 소변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져 요석 형성 증가
- 유전적 요인
- 남성이 3배이상 발생위험이 높다
- 온도와 계절은 요로결석 발생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 증상
- 갑작스럽고 극심한 옆구리 통증 유발 (응급치료를 요하는 경우 많음)
- 통증이 심한 경우 오심, 구토, 복부 팽만, 혈뇨 등 유발
- 진단
- 방사선 검사
- 관리
- 대기 요법
- 요로결석의 자연 배출을 기다리는 방법
- 검사결과 크기가 작고 하부요관에 위치한 경우에는 자연배출을 기대할수 있음
- 체외 충격파 쇄석술
- 수술없이 몸밖에서 충격파를 발사하여 결석을 잘게 분쇄하여 자연배출이 되도록 유도하는 치료법
- 요관경하배석술
- 요관을 통해 내시경을 통과시켜 결석을 분쇄 혹은 제거하는 시술 방법
- 대기 요법
- 전립성 비대증
- 전립선이 비대해져 전립선을 통과하는 요도를 압박하여 소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고 소변의 속도가 감소하는 증상
- 증상
- 빈뇨, 지연뇨
- 예방 및 관리
- 약물요법
- 규칙적인 생활, 충분한 휴식
- 전립선이 비대해져 전립선을 통과하는 요도를 압박하여 소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고 소변의 속도가 감소하는 증상
암환자 건강 문제
- 종양
- 양성 종양: 성장속도가 느리고 전이 되지 않아 생명에 큰 위험은 없음
- 악성 종양(암): 유전적 변이에 의해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변하면서 세포의 성장조절 신호와 무관하게 과다한 증식을 하는 것
- 발병기전 및 발암 요인
- 1단계 (암유발 개시 단계)
- 발암원이 DNA를 공격하여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비가역적 반응
- 2단계 (암유발 촉진 단계)
- 발암 개시 된 세포에 세포분열을 촉진시키는 암 촉진인자가 작용하는 단계
- 3단계 (암진행 단계)
- 양성종양에서 악성종양으로 전환하여 악성 종양의 특성이 증가하는 과정으로, 이 단계에서는 암유전자와 암억제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점차 증가하며 염색체 이상이 분명하게 나타남
- 가족력
- 발암물질을 장기간 섭취할 경우 암발생률이 증가
- 호르몬이 불균형하거나 호르몬 요법을 받을 경우 -> 암유발 가능성 있음
- 1단계 (암유발 개시 단계)
- 증상
- 조기발견이 매우 어려움
- 암 초기: 국소적 증상
- 암이 전이 되면서 증상이 나타남
- 예방
- 의학적인 관점에서 암 발생 인구의 1/3은 예방 가능
- 생활 습관 변화, 발암물질에 노출을 피하며 조기발견을 위해 건강검진 실시
- 관리
- 항암화학 요법
- 수술이 적합하지 않을 때
- 면역요법, 유전자 치료 요법이 새롭게 시도되고 있음
- 항암화학 요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