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V
2022-03-20 08:35
생활과건강 3강. 신체건강 문제와 관리(2)
호흡기계
- 상기도: 비강, 후두, 인두
- 하부기도: 기관, 기관지, 세기관지, 폐포
- 폐: 좌, 우에 1개씩 배치
- 오른쪽 폐: 3개의 엽 (lobe)
- 왼쪽 폐: 2개의 엽
각 폐는 늑막이라는 두겹의 막으로 싸여 보호됨
호흡
인체가 산소를 흡입 한 후 세포로 운반하여 세포 대사 작용 소비
대사 과정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체외로 배출하는 과정
산소 -> 비강통로 -> 이물질 제거, 가습, 가온 -> 인두 -> 후두 -> 기관 및 좌우 기관지 -> 폐포 (허파꽈리) ->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
호흡과정
- 외호흡 (허파호흡): 외부에서 들어온 공기와 폐포의 모세혈관 사이의 가스 교환
- 내호흡 (조직호흡): 혈액과 조식세포 사이에 일어나는 가스 교환
호흡기계 건강 문제
급성 후두염: 급성으로 후두와 주변조직에 염증
- 원인
- 대부분 바이러스성 감염 (인두염, 후두염, 기관지염 = 감기)
- 말을 많이 하거나 대기오염물질에 노출이 되었을때
- 증상
- 전신증상, 감기증상 열이 날 수 있다.
- 전신의 쇠약감 (전신 증상)
- 후두의 이물감 (국소 증상) 혹은 통증
- 예방 관리
- 대부분 자연 치유
- 필요시 구강내 가글액
- 염증이 오래 지속 된다면 병원 방문
- 원인
폐렴
- 원인
- 미생물에 의해 발생하는 폐의 염증, 화학물질이나 방사선 치료 등 비감염성 물질에 의해도 발생 가능
- 증상
- 기저질환과 같이 다르게 나타남
- 폐렴구군에 의한 폐렴: 고열, 오한, 기침 등 동반
- 상기도 감염 증상
- 근육통 등 비특이적 증상
- 소화기 증상
- 산소 교환에 심각한 장애 시 호흡 부전으로 사망에 이르게 됨
- 예방
- 폐렴구균에 의한 폐렴: 예방 백신 접종
- 관리
- 원인균 진단, 최근 항생제 내성 갖는 병원균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약물 혼합 해서 처방 받을 수 있음
- 원인
결핵
- 결핵균에 의한 전염성 질환, 1882년 독일의 로버트코흐 박사가 결핵균 발견
- 1940년대 이후 항 결핵제 개발
- 결핵 예방 관리 강화 대책
- 원인
- 사람의 입에서 나온 비말(비말핵)이 퍼져서 전염
- 결핵균에 노출되었다해서 모두 결핵에 걸리는 것은 아님
- 증상
- 천천히 발병, 진전될때까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
- 마른 기침 -> 누런 기침 -> 2주이상 지속 이면 결핵 의심
- 호흡 곤란, 늑막 통증
- 예방 관리
- 병력 조사, 흉부 x선 검사
- BCG 접종
- 약물치료만으로 완치 가능. 처방대로 복용하지 않을 시 내성이 생길 가능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