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
2022-04-10 08:20
원격 의료 (U-Health)
1. 정의 및 필요성
- 정의
- 유헬스는 유·무선 네트워킹이 가능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건강 관리 및 의료 서비스를 지칭한다.
- 유헬스의 유(U)는 유비쿼터스에서 첫 글자를 따온 것이다
2. 장점과 문제점
장점
- 전통적인 의료 영역에서 벗어나 시간적 공간적인 확대, 소비자 공급자의 확대, 서비스의 다양화 등 도모 가능
- 원격 진료 예약 및 원격 진료 가능
- 집에서도 나의 건강 상태를 손쉽게 체크 가능
- 시간적인 손실의 감소
- 굳이 병원에 매번 가지 않더라도, 원격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정보처리의 신속성
- 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정보처리를 하는 속도가 빨라져 신속성이 좋아진다
- 의료 비용의 감소
- 부정확한 의료 제공의 방지
- 빅데이터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더 정확도 높은 진료가 가능해진다.
- 직접 대면하는 의료 서비스의 이용이 어려운 사람들, 혹은 취약 계층들에게 유헬스를 이용하여 적절한 서비스 제공 가능
- 실시간 건강 모니터링 가능
- 전통적인 의료 영역에서 벗어나 시간적 공간적인 확대, 소비자 공급자의 확대, 서비스의 다양화 등 도모 가능
문제점
- 프라이버시 문제
- IoT를 사용한 uHealth 기술에 대해서는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 될 가능성이 있다.
- IoT 디바이스가 해킹당할 경우 개인의 의료 정보가 악용될 수 있다.
- 불평등 문제
- uHealth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의료 서비스 불평등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 건강 행태 변화에 대한 책임 문제
- 프라이버시 문제
3. 활용 될 수 있는 정보 통신망 기술
- 헬스케어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
- 병명 진단에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 사물 인터넷 (IoT)를 기반으로 사람이 사용하는 물건에 uHealth 기술을 접목 할 수 있다
- 병의원 어플리케이션 개발 기술을 바탕으로 원격 진료 예약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할 수있다.
4. 결론
헬스케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이 매년 20% 이상의 성장률이 기대되는 등, 유헬스 분야의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와 같은 기술의 대중화와 함께 uHealth의 기술의 발전도 같이 기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현재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을 바탕으로 uHealth 분야의 스타트업도 많이 성장을 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앞으로 시간이 갈 수록, 전통적인 의료 진료 프로세스에서 벗어나서 조금 더 시간을 절약하고 맞춤형 진료 프로세스가 uHealth와 함께 이루어 질 것이다.
하지만 이에 따라, uHealth의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여 의료 서비스의 불평등을 겪을 수 있다.
또한 IoT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기가 해킹을 당한 다던지 등의 개인의 프라이버시 문제가 확산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새로운 헬스케어 기술이 조금 더 안정적으로 서비스 되려면 상기 문제들을 해결함이 중요하고 윤리적인 면과 의료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법적인 제재나 규율이 조금더 자리잡힐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
하지만 uHealth 분야는 현재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분야이므로, 시행 착오 과정을 거쳐 결국은 미래의 산업으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예상된다.